실시간 뉴스



"한국동서발전, 동복리 가스발전소 건설계획 철회하라"


[아이뉴스24 배정화 기자] 제주 시민단체가 한국동서발전이 구좌읍 동복리에 추진 중인 가스발전소 건설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경기 파주에 건설된 천연가스발전소(본문무관) [사진=연합뉴스]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 등 도내 21개 시민단체는 17일 논평을 내고 동복리 가스발전소 건설 사업이 추진되면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와 재난은 앞으로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며 사업 중단을 촉구했다.

시민단체에 따르면 한국동서발전(주)는 구좌읍 동복리에 150MW 가스발전소 건설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2월 20일 동복리 주민들을 대상으로 환경영향평가 초안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마치고, 3월 18일까지 의견 수렴을 할 계획이다.

이번 환경영향평가 초안에는 지난 계획과 달리 제주에너지공사에서 인근 채석장 용지를 활용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부지 변경 이유는 당초 사업지가 곶자왈 지역으로 보호가 필요한 생물종이 대거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곳에선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인 제주고사리삼 서식지도 확인됐다. 이러한 논란을 의식했는지 동서발전은 사업지를 채석장 활용이 끝난 지역으로 사업 부지를 급히 옮겼다.

시민단체는 변경된 사업 부지인 "채석장은 사용 후 원상복구가 원칙"이라며 다량의 탄소 배출이 동반되는 가스발전소 건설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활용이 끝난 채석장은 "환경영향을 복구하기 위해, 통상 수목식재와 녹화공사를 진행하게 된다"면서 그러나 동서발전이 제출한 자료에서 "가스발전소의 연간 탄소 순배출량은 56만7326.92톤CO2eq이고, 비상시에는 경유를 사용할 수 있는 내용도 포함돼 이를 감안하면 연간 순배출량은 최대 67만8489.34톤CO2eq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영국의 비영리 금융 싱크탱크인 ‘카본 트래커 이니셔티브’와 이탈리아의 컨설팅업체 ‘노미스마’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9개 주요 자동차 제조사의 자동차 1대 생산할 때 발생하는 탄소 순배출량은 평균 62.74톤CO2eq로 나타났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가스발전소의 연간 탄소 순배출량은 차량 9000대 이상을 생산하면서 발생하는 탄소와 맞먹는다. 동서발전은 2040년에 발전소의 탄소배출을 23% 감축하고, 2050년에는 수소 연료 전환을 통해 99% 감축 계획을 내놨다.

시민단체는 "이러한 배출량은 제주도가 발표한 ‘제주도 2035 탄소중립 비전’ 또는 ‘2040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과 명백히 배치된다"면서 "2040년 넘어서까지 이어지는 발전시설 건립 계획이 제주도의 계획과 같이 갈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강조했다.

동서발전의 수소 전환(혼소 및 전소)을 통한 탄소 감축 계획에 대해서도 "그린수소가 상당량 생산이 되어야만 실현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그린수소 생산 계획은 지지부진할 뿐만 아니라 가격 부분도 감당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수소 혼소나 전소로 탄소배출을 줄이려는 계획은 현실성이 없는 허상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한국석유관리원 수소유통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수소 가격은 ㎏당 제주가 1만5000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다. 이 정도 수준의 가격으로는 가스발전에 그린수소를 활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수소에 대한 공급망 계획 역시 불투명하다. 동서발전은 화석연료 기반의 수소를 가져다 쓰겠다는 것인지 그린수소를 국내에서 더 많이 생산하겠다는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공급망을 세워 수입해 오겠다는 것인지 명확한 내용이 없다.

시민단체는 "제주도에 막대한 출력제한 조치가 발생하고 제주도 인근에서 대규모 해상풍력 계획이 시행되는 등 재생에너지 분야에 막대한 변수가 있는 마당에 대규모 가스발전을 감행하는 것은 도무지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제주도가 기후위기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다면 신규 가스발전소 계획은 멈출 수 있다. 부디 제주도가 현명한 판단을 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공동 성명에는 탈핵기후위기제주행동, 곶자왈사람들, 기후해양정책연구소, 노동당제주도당, 시민정치연대 제주가치, 양용찬열사추모사업회, 전국농민회총연맹 제주도연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제주지역본부,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제주도연합, 정의당제주도당, 제주녹색당, 제주여민회, 제주여성인권연대, 제주인아이쿱소비자생활협동조합, 제주청소년기후평화행동, 제주특별자치도친환경농업협회, 제주평화인권센터, 제주환경운동연합, 제주YWCA, 진보당제주도당, 한살림제주소비자생활협동조합(가나다순) 등 제주도내 21개 시민단체가 참여했다.

/제주=배정화 기자(bjh9881@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한국동서발전, 동복리 가스발전소 건설계획 철회하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