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스미싱으로 경기도민 평균 810만원 피해


보이스피싱·스미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현황 실태조사 결과 그래프. [사진=경기도]

[아이뉴스24 김정수 기자] 국세청이나 우체국 등 기관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이나 스미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로 경기도민 1인당 평균 피해액에 81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본인이나 직계가족 중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경험이 있는 도민 1,195명을 모집해 피해현황 실태조사를 실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23년 12월 전부 개정된 '경기도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예방 및 지원 조례'에 따라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예방과 지원에 필요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약 3개월간 진행됐다.

주요 내용으로는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현황 △피해 구제를 위한 노력 △전기통신금융사기 사전예방 △전기통신금융사기 인지도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사례 기초통계 자료 수집 등에 대한 조사가 진행됐다.

조사결과, 피해유형으로는 기관사칭형이 36.1%로 가장 많았고, 메신저 피싱 25.6%, 대출사기형 19.7%, 문자메시지를 통한 스미싱 13.6% 등의 순이었다.

피해횟수는 1회가 94%가 대부분이었고, 2회 이상이 6%로 한번 피해를 보면 다시 피해를 보는 경우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피해액은 809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100만 원 미만 28.0%, 100만 원 이상 1,000만 원 미만이 45.3%, 1,000만 원 이상 5,000만 원 미만 24.2% 등이었다.

주요 피해이유로는 '신뢰할만한 인물로 가장해 의심할 틈이 없었음(38.4%)', '긴급성과 공포감 조성(26.9%)' 등을 꼽았다.

신고여부는 신고 50.7%, 미신고 49.3%로 거의 비슷하게 조사됐으며, 미신고사유로는 '피해금액이 크지 않아서'가 26.3%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환수 금액으로는 피해액의 25% 미만이 67.5%, 25% 이상~50% 미만이 12.2%로 대부분 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들의 71.9%는 '사전예방 홍보물이 도움이 된다', 81.7%는 '예방정책이 필요하다'고 답하는 등 피해예방 홍보와 정책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피해 사례와 유형 홍보와 맞춤형 피해 예방 교육 △유관기관(금융기관, 통신사)과 협력 방안 마련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대응신고센터 홍보 △피해예방 및 구제 안내(보이스피싱지킴이, 보이스피싱제로) 등 경기도의 정책추진을 제시했다.

경기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계획을 수립해 지자체에서 시행할 수 있는 피해자 예방정책을 발굴·추진할 방침이다.

정두석 경제실장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도민에게 필요한 피해예방 대책을 꼼꼼히 마련해 도민이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로부터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김정수 기자(kjsdm05@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스미싱으로 경기도민 평균 810만원 피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아이포토] 벚꽃 활짝 여의도 봄꽃축제
[아이포토] 벚꽃 활짝 여의도 봄꽃축제
대선 출마 기자회견하는 김두관 전 의원
대선 출마 기자회견하는 김두관 전 의원
최고위 참석하는 이재명 대표
최고위 참석하는 이재명 대표
최고위 발언하는 박찬대 원내대표
최고위 발언하는 박찬대 원내대표
비대위 참석하는 권성동-권영세
비대위 참석하는 권성동-권영세
발언하는 권성동 원내대표
발언하는 권성동 원내대표
권영세 "개헌안 마련해 대통령 선거일에 국민투표 방안 추진"
권영세 "개헌안 마련해 대통령 선거일에 국민투표 방안 추진"
박찬대 원내대표 격려하는 이재명 대표
박찬대 원내대표 격려하는 이재명 대표
'비상계엄 해제한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
'비상계엄 해제한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 회부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 회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