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트럼프發 관세 후폭풍…"아이폰 333만원 될 수도"


中 상호관세 34%에 기존 20% 합산 54%
"中 생산 아이폰 가격 43% 이상 오를 수도"
삼성 갤럭시가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어

[아이뉴스24 박지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가 시행된다면 최악의 경우 아이폰 최상위 모델인 '아이폰 프로맥스'의 가격이 333만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로이터통신은 3일(현지시간) 애플이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한다면, 아이폰 가격이 현재보다 30~40%까지 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9월 서울 강남구 안다즈 호텔에서 열린 '아이폰 16' 개통 행사에서 고객들이 스마트폰을 체험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상호관세 34%를 부과했다. 이미 중국에 적용됐던 20% 관세를 합하면 중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의 관세는 54%에 달한다.

중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해 미국에서 판매해 온 애플이 직접적인 사정권에 있는 셈이다.

월스트리트 로젠블래트 증권은 "미국에서 799달러에 출시된 아이폰 16 시리즈 기본형의 경우 관세 인상 시 최대 1142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특히 "최고급 모델인 아이폰16 프로맥스의 경우 소비자 가격이 1599달러에서 43% 오른 2300달러에 달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 2월에 출시된 보급형인 아이폰 16e의 경우 599달러에서 856달러로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공동 창립자 닐 샤도 "애플이 관세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가격을 최소 30% 인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스마트폰 가격이 급등하면 수요가 감소하고, 중국보다 낮은 관세가 부과된 삼성전자가 더 유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삼성전자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경우 국내와 베트남에서 생산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산 수입품에 대해서는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다만 베트남은 46%의 관세를 통보받았다.

/박지은 기자(qqji0516@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트럼프發 관세 후폭풍…"아이폰 333만원 될 수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
'대선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입당
'대선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입당
국민의힘과 손 잡은 김문수 전 장관
국민의힘과 손 잡은 김문수 전 장관
김문수, 대선 출마 선언
김문수, 대선 출마 선언
[아이포토] 김동연 경기지사, 21대 대선 출사표
[아이포토] 김동연 경기지사, 21대 대선 출사표
대선 출마 선언 후 관세 대응 위해 출국하는 김동연
대선 출마 선언 후 관세 대응 위해 출국하는 김동연
김동연 경기지사, 인천공항서 대선 출마 선언
김동연 경기지사, 인천공항서 대선 출마 선언
대선 출마 선언하는 김동연 경기지사
대선 출마 선언하는 김동연 경기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대선 출마
김동연 경기도지사 대선 출마
대선 출마 선언하는 김동연
대선 출마 선언하는 김동연
대선 출마 안철수 손가락에도 의문의 글자
대선 출마 안철수 손가락에도 의문의 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