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지은 기자] 중국반도체산업협회는 11일 "집적회로(반도체)가 패키징됐는 지 여부와 관계없이 수입 신고 시 '웨이퍼 제조 공장'이 자리한 국가를 원산지로 신고해야 한다"고 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했다.
협회는 이날 중국의 세관청에 해당하는 해관총서의 관련 규칙을 들어 이 같이 공지했다.

또 기업들에 구매주문서(PO) 등의 자료를 제출하고, 해당 규정에 맞게 중국에서 수출, 수입되는 반도체 제품의 원산지를 신고하도록 권고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 방식을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먼저 반도체의 원산지를 '웨이퍼 생산 국가'로 간주한다고 밝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웨이퍼 생산 국가로 원산지를 규정할 경우 한국, 대만, 일본 등에서 반도체 생산을 위한 전공정을 마친 웨이퍼를 중국 본토로 가져와 후공정(패키징)을 하더라도 원산지는 한국산, 대만산, 일본산으로 표기된다.
미국에서 추후 반도체 관련 고율의 관세를 매기더라도 중국에서 후공정을 한 제품들은 관세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0cc037e7b18415.jpg)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트럼프발(發)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경우, 관세가 낮은 나라로 원산지를 변경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는데 중국에서 먼저 원산지 규정을 명확히 한 것이다.
다만 중국의 이번 조치가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원산지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예단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열흘 가량 발표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반도체의 경우 품목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미국이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미미하고 오히려 미국 물가를 오르게 하는 등 손해가 될 수 있다고 예상해왔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마음까진 알 수 없지만, 미국도 (반도체 관세를 늦추는 것은) 이런 지점을 고심하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주완 인더스트리 애널리스트도 "미국 반도체 기업들도 현지에서 생산한 반도체를 현지에 판매하기보단 수출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국 현지에 반도체가 필요한 서버 조립공장, 노트북, 스마트폰 생산시설이 적어 굳이 반도체에 관세를 매기더라도 거둘 수 있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10~50%까지 시행했다가 약 13시간만에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다. 미국에 무역보복으로 맞받은 중국에 대해서는 145%의 고율의 관세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박지은 기자(qqji0516@inews24.com)
--comment--
짱개답다 일명 원산지 뺏기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