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안영록 기자] 충북 증평군이 지역을 대표하는 전통 노동요인 ‘장뜰두레농요(農謠)’에 대한 충북도 무형 유산 지정을 추진한다.
7일 군에 따르면 장뜰두레농요의 문화·음악적 가치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학계 연구와 관련 논문 조사를 추가로 진행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충북도 무형 유산 지정 신청을 준비할 계획이다.
장뜰두레농요는 도안뜰과 질벌뜰을 둘러싸고 마을을 이룬 증평리‧사곡리‧용강리‧송산리‧미암리‧남하리 일원에서 전승돼 오는 농요다.

지난 2002년 증평문화원이 발굴했고, 지난해 65회 한국민속예술제에서 우수상(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을 수상하는 등 장뜰두레농요보존회(회장 이송근)를 통해 보존‧전승돼 오고 있다.
증평 장뜰두레농요는 △고리질(물을 퍼 넣는 작업)소리 △모찌기(모판에서 모를 뽑는 작업)소리 △모내기 소리 △초듭매기(모를 심고 보름이 지나서 하는 첫 번째 김매기) 소리 △이듭매기(초듭매기를 한 뒤 보름 정도 지나 호미로 김매는 작업) 소리 △보리타작 소리 △보리방아찧기 소리 △세듭매기(논에 자란 풀을 뜨는 작업) 소리로 구성돼 있다.
가창 방식으로는 다른 노동요와 같이 독창자가 메기는 소리를 하고 나면 나머지 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받는소리를 연행하는 교창(交唱)형식으로 돼 있다.
현재까지 학계에서는 장뜰두레농요가 강원도 민요의 음악적 요소와 경상도 민요의 강한 억양을 받아들이면서도 충북의 여유 있고 부드러운 악상을 표현하고 있어 매우 중요한 무형 유산으로 보고 있다.
이재영 군수는 “장뜰두레농요는 우리 군민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한 보물 같은 무형 유산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를 전승하고 보존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