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한빈 기자] 서울시가 40년 만에 '지하철 노선도(단일노선도)'를 전면 개편한다.
![서울시가 40년 만에 '지하철 노선도(단일노선도)'를 전면 개편한다. 사진은 관광명소 기호 등이 표기된 신형 지하철 노선도. [사진=서울시]](https://image.inews24.com/v1/6e1c812c81b48c.jpg)
16일 서울시는 올 하반기부터 서울지하철 1~9호선의 단일노선도를 개편한다고 밝혔다.
'단일노선도'란 지하철 전동차, 승강장 내부와 안전문 등에 부착된 노선도다. 역명과 환승 가능 노선, 편의 시설 등이 표기돼 있다.
기존 단일 노선도는 역 위치와 이동 방향, 지자체 경계 등 중요 지리 정보 파악이 어려워 초행자, 고령자, 외국인 등에게 불편을 초래해왔다.
이에 시는 디자인·색채·정보디자인 전문가 자문을 통해 '신형 단일노선도' 표준 디자인을 개발해 서울교통공사와 협의 후 올 하반기부터 순차적으로 부착할 예정이다.
![서울시가 40년 만에 '지하철 노선도(단일노선도)'를 전면 개편한다. 사진은 관광명소 기호 등이 표기된 신형 지하철 노선도. [사진=서울시]](https://image.inews24.com/v1/cb1ab3ea8ab88b.jpg)
이번에 도입되는 신형 단일노선도는 가로형, 세로형, 정방형(안전문 부착형) 등 3가지 형태로 제작됐다.
아울러 색각 이상자도 인지 가능한 색상 체계와 함께 신호등 방식의 환승 라인, 외국인 이용객을 위한 역 번호 표기 등을 적용했다. 또한 한강, 지자체 경계, 분기점 등 지리 정보도 반영해 정보 전달력을 높였다.
국내외 관광객이 즐겨 찾는 서울시청, DDP, 남산서울타워 등 서울 대표 명소 그림 문자(픽토그램) 14종도 개발해 노선도에 적용했다. 서울시는 관련 상품도 개발·제작할 예정이다.
이번 지하철 노선도 개편에는 서울시가 MZ세대를 겨냥해 개발한 서체 '서울알림체'가 처음으로 적용됐다. 자연스러운 손글씨 형태와 섬세한 곡선의 글씨체는 작은 크기로도 잘 읽히도록 설계돼 지하철 안내도에 적합하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신형 단일노선도는 정보 전달력과 디자인 통일성을 강화한 서울 대표 공공디자인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전동차, 승강장뿐만 아니라 관광 굿즈 등으로도 활용돼 도시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한빈 기자(gwnu20180801@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