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신지훈 기자] 쿠팡 덕평물류센터 화재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당국의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책임 공방이 치열하다. 화재 신고와 근로자 대피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다는 주장도 지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화재 당시 248명에 달하는 근무자 전원이 부상자 한 명 없이 무사히 대피한 것은 불행 중 다행이란 전문가의 시각이 있다. 지난 5년간 경기도 내 물류창고에서 발생한 827건의 화재 중 사망자와 부상자 수가 각각 46명, 56명에 달하는 것과 대조적이라는 평가다.
무엇보다 반(反) 기업정서에 기댄 쿠팡에 대한 막연한 마녀 사냥보다는 종합적인 면을 고려해 정확한 사후 조치를 취재야 한다고 강조했다.
23일 소방당국에 따르면 덕평물류센터 화재 발생 시간은 지난 17일 오전 5시20분으로 추정된다. 소방인력이 현장에 도착한 시점은 오전 5시41분쯤이다. 1차 소방인력이 도착했을 당시 근무자 248명 전원은 거의 대피를 완료한 상태였다.
일각에서 최초 화재 발견자가 휴대폰이 없어 화재 신고를 하지 못했고, 이후 쿠팡 관계자에게 화재 사실을 알렸으나 이를 묵살했다는 주장이 나와 추가 확인은 필요한 상황이다. 다만 화재 발생 시점이 교대시간과 겹치며 야간 근무자 상당수가 퇴근을 했거나 준비를 하던 시점이었기 때문에 신속한 대피가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 안전관리 전문가는 "초기 대처가 미흡했다는 일부의 주장도 나오나 화재 진화 과정에 대해서는 쿠팡이 통제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라며 "순직한 소방관에 대해서는 굉장히 안타까운 마음이나, 그나마 다행인 것은 대형 화재였음에도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이며, 이는 과거 물류창고 화재와 비교해 극히 이례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덕평물류센터와 규모가 비슷한 용인 SLC 물류센터의 지난 7월 화재와 비교하면 쿠팡의 대처는 잘한 것"이라며 "화재 사고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연기에 의한 질식이나 이번 사고에서는 질식도 전혀 없었다. 스프링쿨러 오작동에 대한 의혹이 있으나 이는 조사 결과가 나와봐야 할 것이다. 설령 오작동이 났다하더라도 200명이 넘는 임직원이 대피한 것을 주목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덕평물류센터가 다른 물류센터와 달리 내연성 소재를 사용했기 때문에 대형 참사를 막을 수 있었다는 의견도 있다. 지난해 4월 38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한익스프레스 물류센터 화재의 경우 가연성 소재인 우레탄폼으로 인해 화재가 급격히 확산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바 있다.
덕평물류센터는 우레탄폼이 아닌 내연성 자재인 '글라스울'이 사용됐다. 이 덕분에 초기에 불이 쉽게 번지지 않았고, 연기도 나지 않아 즉각적인 대피가 이뤄질 수 있었으며, 사상자가 발생하지 않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정진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교수는 "쿠팡은 물류센터 설계 과정에서 내연성 자재를 사용하는 등 안전에 대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며 "완벽하지는 않겠지만 희생자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쿠팡의 대처는 잘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기업이 그동안 해온 노력은 고려하지 않고 상황을 통제할 수 없는 부분까지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이는 자칫 '예방 노력을 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쿠팡은 지난 1년 간 안전전문 인력 700여명을 추가로 고용했다. 안전 관리를 위해 2천50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 덕평물류센터는 지난 2월부터 4개월 간 전문 소방업체에 의뢰해 상반기 정밀점검을 완료하는 등 안전에 대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이번 화재를 교훈 삼아 안전에 대한 투자를 더욱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쿠팡이 안전에 대한 투자를 계속해온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이번 사고로 이 마저도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증명된 만큼 앞으로 더욱 관련 투자를 늘려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지훈 기자(gamja@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