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영웅 기자] "대우조선해양의 매각 소식이 알려지면서 유럽선사 등 주요 발주처가 대우조선에서 일감 주기를 꺼리는 경향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업계 한 관계자)
대우조선의 주인찾기가 본격화한 가운데 인수합병 과정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조선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진되는 이번 빅딜 과정이 자칫 경영정상화에 성공한 대우조선의 경쟁력 약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에서다.
앞서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그룹이 지난 8일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관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현대중공업이 물적분할을 통해 '한국조선해양(가칭)'을 설립하고, 산업은행은 보유 중인 대우조선 지분 전량을 출자한 뒤, 대신 한국조선해양의 주식을 취득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합병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실사를 거쳐 공정거래위원회의 독과점 심사를 받아야 한다. 여기에 해외 경쟁당국의 기업결합심사도 넘겨야 한다. 이 때문에 업계 안팎에서는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의 빅딜이 마무리되기 위해선 대략 1년은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우조선은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내년부터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규제 조치가 시행되면서 LNG(액화천연가스)선 등을 중심으로 한 발주가 벌써부터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LNG선에 경쟁력을 갖춘 대우조선은 이같은 수혜를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나온다.
실제로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빅딜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요 선사들은 대우조선에 발주를 꺼려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선사들은 조선사와 선박 건조 계약체결 시 경영리스크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대우조선 매각 이슈가 대우조선의 협상력 약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상황이다.
대우조선은 2016년부터 자구안 이행과 구조조정을 통해 경영정상화에 성공했다. 실제로 지난해 국내 조선업계 중 나홀로 성장을 이뤄냈다.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영업이익은 7천942억원을 각각 기록할 전망이다. 또, 지난해 총 47척, 약 68억1천만달러 상당의 선박을 수주해 목표의 93%를 달성했다.
만일 매각이 무산되거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10조원을 투입해 겨우 정상화시켜 놓은 대우조선을 또다시 사지로 내모는 꼴이 될 것이다. 채권단은 이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조선업 빅딜 과정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마무리 지어야 한다.
이영웅 기자 hero@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