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강일 기자] 대전시교육청이 2025년 교육복지 정책을 통해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의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학생 맞춤형 지원 체계를 강화한다.
시교육청 정인기 기획국장은 9일 오전 언론브리핑을 갖고,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 학생 지원 확대, 교육복지안전망 운영, 그리고 최근 공포된 ‘학생맞춤통합지원법’ 이행 계획을 중점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교육청의 이행계획에 따르면,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교육급여는 올해 5% 인상돼 초등 48만7000원, 중등 67만9000원, 고등 76만8000원이 지급되며, 자사고 재학생에게는 학비 전액을 지원한다. 중위소득 80% 이하 가정에는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초등 연 72만원, 중·고 60만원)과 현장체험학습비(초 20만원~고 55만원)를 제공한다. 다자녀 가정의 둘째 자녀부터는 소득 제한 없이 수학여행비도 지원한다.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61개 학교에 교육복지사를 배치하고, 교육복지안전망을 통해 지역사회와 협력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담 창구로 신속 신청이 가능하며, ‘희망교실’ 멘토링은 649개 교실로 확대된다. 위기학생을 위한 ‘꿈이룸 사제 행복동행’은 생계비·교육비·의료비를 지원하며, ‘나비프로젝트’는 지역 기관과 연계해 체험과 장학금을 제공한다.
2026년 시행되는 ‘학생맞춤통합지원법’에 대비해 교직원 협력으로 취약 학생을 조기에 발굴·지원하는 체계를 구축 중이며, 선도학교와 시범교육청(동부)을 운영하고 있다.
정인기 기획국장은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이 차별 없이 교육받을 수 있도록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학생 중심의 교육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강한 의지를 밝혔다.
/대전=강일 기자(ki0051@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