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새 방사광가속기 어디로? 지자체 유치전 본선 개막


접근편의성, 지역균형발전, 예산절감 등 홍보전 치열

[아이뉴스24 최상국 기자] 과기정통부가 신규 방사광가속기를 건설할 부지 공모에 들어가면서 첨단 산업지원과 기초과학 육성의 랜드마크가 될 새 방사광가속기 건설지역이 어디가 될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부터 새 방사광가속기 유치의사를 표명해 온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27일 과기정통부의 부지 유치 공고 이후 관련 전담팀을 구성하고 홍보전에 나서는 등 유치전략 수립에 분주한 모습이다.

30일 유튜브를 통해 열린 과기정통부의 온라인 설명회에서도 '접근편의성', '지역균형발전', '부지규모', '배후시설' 등 부지 선정을 위한 평가요소에 대한 각 지자체들의 질문과 요청이 쇄도해 방사광가속기 유치를 위한 지자체의 뜨거운 관심을 드러냈다.

방사광가속기 조감도 [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방사광가속기 조감도 [기초과학지원연구원]

현재까지 방사광가속기 유치의사를 표명한 지자체는 강원-춘천, 경북-포항, 전남-나주, 인천-송도, 충북-청주 등 5개 광역-기초단체 컨소시엄이다. 울산시의 경우 유치희망지역으로 알려졌으나 "현재까지 검토한 바 없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번 방사광가속기 유치전은 4~5개 시도간 경쟁으로 압축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유치전에서 가장 먼저 변수로 떠오른 요소는 부지 면적이다. 과기정통부는 공고문에서 최소 26만㎡(500m×520m) 규모의 단절 없는 부지 제공을 사업유치의 기본요건으로 제시했다. 또한 신청한 부지가 기본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평가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못박았다.

특히 4월8일까지 제공부지의 위치, 면적 등을 포함한 유치의향서를 제출하도록 해 부지규모를 사전에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일부 지자체의 경우 혼선이 불가피해졌다.

기존의 포항가속기연구소와 연계하는 방법으로 신규부지는 10만㎡정도를 고려했던 경북의 경우 정부 공고에 맞춰 유치희망 부지를 새로 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 관계자는 "26만㎡를 기본요건으로 정한 공고문을 보고 당황스러웠던 게 사실"이라며 "공고에 맞춰 신청은 하겠지만 기존 가속기 시설들과 연계하면 충분히 가능한데도 대규모 부지를 필요로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인천 송도의 경우 부지 확보문제 때문에 고민에 빠진 모습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부지는 충분히 있지만 이 땅을 방사광가속기 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정책적인 판단이 필요하다"면서 "유치신청을 할 지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30일 온라인설명회에서도 26만㎡ 규모를 필수요건으로 정한 근거는 무엇인지, 꼭 장방형이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질문이 올라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과기부 담당자는 "4GeV(기가전자볼트)급으로 건설될 신규 방사광가속기의 규모는 사전 개념연구와 과학기술자문회의를 거쳐 확정한 것으로, 저장링 둘레가 800미터에 달하며 빔라인, 실험연구동, 부대시설 등을 감안할 때 최소요건으로 정한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부지규모가 기본요건이라면 이번 유치전의 승부는 '입지조건'에서 결판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후보 부지 선정평가항목으로 '시설입지조건'에 50점을 배정했다. 입지조건은 '부지의 안전성', '지리적 여건', '발전 가능성' 등 세 가지 세부평가항목이 적용된다.

여기에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요소도 눈에 띄지는 않지만 중요한 변수의 하나다. '국가균형발전에의 기여 가능성' 은 과기부가 공개한 평가항목 중 입지조건>발전가능성>미래자원의 확장 가능성 항목 아래에 꼬리처럼 붙어 있지만 대형국책사업에서 빼 놓기 힘든 고려사항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온라인설명회에서도 '국가균형발전'을 별도 항목으로 분리하고 배점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전남도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집중 제기됐다.

반면 강원과 충북의 경우 방사광 가속기 이용자의 접근 편의성을 고려할 때 중부권에 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특히 이번에 건설할 방사광가속기는 '산업지원용'에 방점이 찍혀 있기 때문에 수도권에 가까울 수록 이용편의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지리적 여건, 부지안전성, 발전가능성 등 모든 입지조건에서 청주 오창이 최적지"라고 자신감을 표했다. 춘천시 관계자도 "수도권 교통, 통일후대비, 자연재해로부터의 안전성 등이 춘천의 강점"이라고 주장했다.

포항의 경우 "기존 3·4세대 방사광가속기와 연계 구축할 경우 예산을 1천억원 가량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도 1년 단축할 수 있다. 이용자들도 방사광가속기가 밀집된 곳이 편할 것"이라면서 효율성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방사광가속기 건설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는 지자체의 유치경쟁이 뜨거워지면서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지속 강조하고 있다. 부지유치 공고와 동시에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산업지원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입지 적합성 검토 기준 조사연구'도 별도 과제로 공고했다.

과기부는 이 정책용역과제를 통해 '시설접근성, 산업계 활용도, 산학연 연계가능성, 정주여건' 등 지리적 입지조건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기준을 별도로 마련하고 이를 부지선정평가위원회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번 '다목적 방사광 가속기 구축사업'은 가속기 건설을 위한 정부 예산만 8천억원이 투입되는 거대연구시설 프로젝트다. 지자체가 투자할 부지, 진입로, 부대시설 등을 포함하면 1조원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며 올해 중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2년 착공, 2027년에 건설을 완료할 계획이다.

지난해 일본의 핵심소재 수출 규제 이후 첨단 소재·부품 산업을 기초부터 쌓아올리기 위해서는 새 방사광가속기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급물살을 탔다. 기존의 포항가속기가 노후화된 것은 물론 이용수요의 절반을 겨우 소화할 만큼 포화되면서 새 가속기 건설의 당위성이 확보됐다. 특히 기초연구는 물론 산업지원이 강조되면서 이번 가속기에는 '산업지원을 위한'이라는 이름도 붙었다.

방사광 가속기의 기본 시설에 학술용과 산업용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는 신규 방사광 가속기의 경우 기업에 일정 규모 이상의 빔타임을 배정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전용 빔라인도 구축하는 방식으로 산업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방사광 가속기 유치를 희망하는 지자체는 광역지자체와 기초지자체가 컨소시엄을 이루어 4월8일까지 유치의향서를, 21일까지 후보지의 지질조사결과(시추, 소음·진동 등)를, 29일까지 유치계획서를 접수해야 한다. 우선 협상지역은 5월7일 확정될 예정이다.

최상국 기자 skchoi@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새 방사광가속기 어디로? 지자체 유치전 본선 개막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